다음에는, 단일 통합 플랫폼과 다수의 포인트 솔루션에 대한 선호도, 옵저버빌리티의 필요성을 추진하는 전략 및 추세, OpenTelemetry의 도입과 사용에 가장 중요한 동인, 다양한 그룹 간의 옵저버빌리티 지지 수준, 그리고 옵저버빌리티가 핵심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조력자인지 아니면 인시던트 대응/보험 수단인지 알아봅니다.
전략 및 조직 하이라이트:
기술 담당 최고 임원을 옵저버빌리티의 지지자로 간주합니다.
옵저버빌리티가 핵심 비즈니스 목표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
단일 통합 플랫폼을 선호합니다.
OpenTelemetry 도입의 주요 동인으로 확장성을 들었습니다.
보안을 옵저버빌리티의 가장 큰 동인으로 들었습니다.
단일 플랫폼 또는 다수의 포인트 솔루션 선호도
조직들은 전략적으로 얼마나 많은 수의 옵저버빌리티 툴을 선호할까요? 조직들은 단일 통합 옵저버빌리티 플랫폼을 원할까요? 아니면 특정 모니터링 기능에만 사용할 수 있는 동급 최고의 포인트 솔루션 여러 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선호할까요?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절반 이상(54%)이 단일 통합 플랫폼을 선호했습니다. (전년 동기 대비 15% 증가)
- 4분의 1 이상(29%)이 다수의 포인트 솔루션을 선호했습니다. (전년 동기 대비 14% 감소)
- 어느 한쪽을 특별히 선호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16%에 불과했습니다.
단일 통합 플랫폼을 선호합니다.
역할별 인사이트
IT 의사결정권자(57%)는 실무자(52%)보다 단일 통합 플랫폼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.
지역별 인사이트
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응답자들은 유럽(23%) 및 북미(19%) 응답자들에 비해 다수 포인트 솔루션(38%)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습니다.
조직 규모별 인사이트
대규모 조직은 더 많은 툴을 사용하고 소규모 조직은 더 적은 툴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, 둘 다 단일 통합 플랫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습니다.
업계별 인사이트
서비스/컨설팅 분야는 단일 통합 플랫폼을 선호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으며(65%), 헬스케어/제약 분야(58%)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. 에너지/공공자원 및 비영리 조직는 다수 포인트 솔루션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습니다.
옵저버빌리티를 추진하는 동향
어떤 기술 전략과 동향이 옵저버빌리티의 필요성을 추진하고 있을까요?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거의 절반(49%)의 응답자들이 보안, 거버넌스, 위험, 규정 준수에 대한 중점이 증가한 점을 들었습니다. 2년 연속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항목입니다.
- 5명 중 2명(38%)은 비즈니스 앱을 워크플로우에 통합하고 인공지능(AI) 기술을 도입한다고 답했습니다. (두 가지 모두 올해 새로 추가)
- 보안을 제외하고, 모든 기존 2022년 항목들에 대한 선택이 줄었습니다.
역할별 인사이트
보안이 동인이라고 답한 비율은 IT 의사결정권자(56%)가 실무자(46%)보다 훨씬 높았습니다.
지역별 인사이트
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AI, IoT, CDN, 오픈소스, 서버리스 같은 최첨단 기술이 훨씬 더 증가했습니다.
조직 규모별 인사이트
대규모 조직의 응답자들은 일반적으로 모든 동향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
업계별 인사이트
옵저버빌리티 동인은 업계별로 크게 차이가 납니다.
OpenTelemetry의 동인
또한 장기적인 옵저버빌리티 전략에서 OpenTelemetry 도입 및 사용의 가장 중요한 동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.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약 절반은 확장성(52%)과 기존 툴 스택과의 통합(46%)을 가장 중요한 동인으로 꼽았습니다.
- 3분의 1 이상은 옵저버빌리티 라이선스 비용(37%)과 이동성(36%)을 언급했습니다.
- 약 4분의 1은 오픈소스 챔피언이 되는 것(26%)과 공급업체에 종속되지 않는 것(21%)을 들었습니다.
- OpenTelemetry를 도입하지 않은 비율은 4%에 불과했습니다.
- 단 2%만이 OpenTelemetry가 무엇인지 알지 못했습니다.
역할별 인사이트
확장성이 중요한 동인이라고 답한 비율은 IT 의사결정권자(56%)가 실무자(49%)보다 높았습니다.
지역별 인사이트
북미 지역 응답자들의 경우 OpenTelemetry를 도입하지 않았고 그것이 무엇인지 모른다고 대답한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.
조직 규모별 인사이트
대규모 조직은 확장성과 기존 툴 스택과의 통합을 주요 동인으로 꼽았습니다.
업계별 인사이트
OpenTelemetry를 도입하지 않았다고 답한 비율은 서비스/컨설팅 업계(7%)가 가장 높았습니다.
옵저버빌리티에 대한 지지도
설문조사 참여자들에게 조직의 여러 다른 역할들 간에 옵저버빌리티 지지도 수준을 평가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.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모든 역할에 걸쳐 평균 지지 수준은 68%로, 2022년과 거의 동일합니다.
- 평균적으로 70%는 최고 임원들을 지지자로 보았고 31%는 강력한 지지자로 여겼습니다.
- 기술 관련 분야 최고 임원들이 옵저버빌리티의 강력한 지지자(36%)와 일반적인 지지자(76%)로 인식되었고, IT 엔지니어(각각 34%와 75%)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.
- 거의 3분의 2(64%)는 비기술 분야 최고 임원이 옵저버빌리티 지지자라고 답했습니다.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% 감소한 수치입니다.
- 전반적으로 옵저버빌리티에 대한 저항(4%)은 전년 동기 대비 47% 줄었습니다(2022년의 7% 대비). 사이트 안정성 엔지니어(SRE)의 저항이 가장 컸지만 그 수치는 5%로 미미합니다.
이 보고서에서 정의한 풀스택 옵저버빌리티 또는 성숙한 옵저버빌리티 관행을 갖춘 조직은 그 두 가지를 갖추지 않은 조직들보다 강력한 옵저버빌리티 지지자가 현저히 많았습니다.
옵저버빌리티를 핵심 비즈니스 목표의 동인으로 본 조직의 응답자들은 거의 모든 역할에서 옵저버빌리티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기술 관련 분야 최고 임원을 옵저버빌리티의 지지자로 간주
역할별 인사이트
기술 관련 분야 최고 임원이 강력한 지지자라고 말한 임원(54%)들이 특히 많았습니다.
옵저버빌리티의 목적
옵저버빌리티의 목적을 올해는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. 실무자와 IT 의사결정권자들은 옵저버빌리티를 핵심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동인으로 인지하고 있을까요? 아니면 인시던트 대응/보험을 위한 수단으로 인지하고 있을까요?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5명 중 2명(40%)은 옵저버빌리티가 핵심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동인이라고 생각했습니다. 이는 전년동기대비 21% 감소한 수치입니다.
- 약 3분의 1(32%)은 비즈니스 목표와 인시던트 대응이 동일하게 조직의 옵저버빌리티를 추진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% 증가한 수치입니다.
- 4분의 1 이상(26%)이 옵저버빌리티를 인시던트 대응/보험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습니다.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3% 증가한 수치입니다.
전체적으로 71%는 옵저버빌리티가 조직의 핵심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느 정도 핵심적인 동인이라고 답했습니다. 이는 2022년의 78%와 비교되는 수치입니다. 57%는 옵저버빌리티를 어느 정도 인시던트 대응/보험 수단이라고 답했습니다. 2022년에는 49%였습니다.
주목할 것은, 옵저버빌리티가 핵심 비즈니스 목표의 동인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단일 통합 플랫폼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입니다. 옵저버빌리티가 핵심 비즈니스 목표를 위한 것이라고 답한 672명의 응답자 중 63%는 단일 통합 플랫폼을 선호한 반면, 27%는 다수의 포인트 솔루션을 선호했습니다.
옵저버빌리티는 핵심 비즈니스 목표에 필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.
역할별 인사이트
임원과 실무자는 핵심 비즈니스 목표에 더 필요하다고 답한 반면, 비임원급 관리자는 인시던트 대응/보험에 더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.